강화도 6

바다와 갈매기. 4

갈매기 [Larus canus]조류 갈매기과(―科 Laridae)에 속하며 한반도 전역에서 월동하는 겨울새. 갈매기 몸길이가 44.5㎝에 날개 길이는 115㎝ 정도 된다. 머리와 몸 아랫부분은 흰색이고, 윗부분은 청회색이다. 첫째 날개깃 끝은 검은색이나 흰무늬가 있다. 겨울깃의 경우 머리에 갈색 반점이 있다. 부리는 가늘고 황색이며 다리도 황색이고 눈은 검은색이다. 어린 새는 연한 갈색 또는 갈색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배부분이 담색을 띤다. 괭이갈매기 또는 재갈매기, 붉은부리갈매기보다 훨씬 작은 집단이 도래하여 겨울을 보낸다. 동해안과 남해안 하구 등 해변가에서 겨울을 나는데, 엄동에는 주로 남해안과 남해안 도서 바닷가에서 지낸다. 그러나 서울 한강 수역에서도 드물지 않게 보인다. 재갈매기나 큰재갈매기..

강화도 2013.10.01

바다와 갈매기. 3

갈매깃과에 속한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괭이갈매기, 붉은부리갈매기, 세가락갈매기, 제비갈매기 따위가 있다. 갈매깃과에 속한 새의 하나. 몸은 길이 30~75센티미터 정도로 비둘기보다 좀 크고, 색깔은 대체로 흰데 등과 날개는 회색이며 부리와 다리는 노란색이다. 발에는 물갈퀴가 있어서 헤엄을 잘 치고 물고기 따위를 잡아먹으며 5~6월에 두세 개의 알을 낳는다. 해안, 항구 따위에서 사는데 북반구에 분포한다. 학명은 Larus canus이다.

강화도 2013.10.01

바다와 갈매기. 2

강화를 찾는 이들은 연간 약 300여만 명에 이르고, 매년 늘어나고 있다. 그만큼 강화는 수도권에서 가깝고, 볼거리, 놀거리, 먹을거리들이 풍부한 곳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자가용을 이용하여 강화를 찾기에, 풍부한 여행거리를 만끽하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다. 빠르게 스쳐지나가는 여행은 강화를 단지 스트레스를 풀고 가는 장소로 여길 뿐, 강화의 문화와 전통, 오래된 삶의 방식을 체험하고 공감하기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여행이 생태, 체험 여행, 나들길 걷기, 자전거 트래킹 등 슬로-라이프 형으로 변하고 있음을 감안하여 강화를 만나는 새로운 여행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강화 순환버스 여행 강화는 총 면적 411,322Km2로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큰 섬이다. 민족의 진산인 마니산(4..

강화도 2013.10.01

바다와 갈매기. 1

강화도 선사시대와 고대 구석기 유물인 쌍날찍개 및 신석기시대 토기가 발견 보고된 바 있으며, 청동기시대 대표적 유물인 고인돌 150여기 중 70여점이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음 또한 삼국시대에는 혈구군을 설치했고, 불교의 유입으로 전등사를 비롯한 전통사찰이 창건되기 시작함 고려시대 몽골의 침입에 항쟁하고자 강화로 천도함에 따라 강도(江都)로서의 면모를 강화 고려궁지를 갖추었으며, 국난을 극복하자고 강화 선원사지에서 고려대장경이 제작하였음 고려시대 임시 수도로서 고려 왕릉(홍릉, 석릉, 곤릉, 가릉, 능내리석실분)이 축조되었으며, 충렬왕 12년(1286년) 문성공 안유가 공자상 봉안한 우리나라 최초의 향교(교동향교)가 있음 조선시대 국방상 방어기지로서 성·진·보·돈대·포대 등 국방유적이 설치 되..

강화도 2013.10.01

강화 평화전망대

강화평화전망대. 강화군 양사면 북성리에 위치한 제적봉에 있으며 일명 758OP라고 불리는곳이다. 강화평화전망대 약도 ★강화평화전망대★ 강화군 양사면 북성리에 위치한 제적봉에 있으며 일명 758OP라고 불리는곳이다. 강화군은 북한의 개풍군, 연백군에 손만 뻗으면 닿을 만큼 가까운 곳이다. 강화지역 최북단에 위치한 안보관광지 강화평화전망대는 왼쪽으로 예성강, 오른쪽에는 한강과 임진강이 합류되는 지점에서 남쪽에 위치한 민간인 통제구역에 있으며, 북한과 최근 접거리는 1.8㎞에 불과해 육안으로도 북한사람들의 일상 생활 모습과 개성공단 탑, 아름다운 송악산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최적의 안보관광지로 꼽히고 있다. 강화군은 평화전망대 조성을 위해 2006년 말부터 총 사업비 48억여 원을 투입, 양사면 철산리 민..

강화도 2013.10.01